부동액 교환주기 및 교환비용
부동액
부동액이란 차량 내부의 열을 식혀주는 일종의 소포품입니다. 내부의 열이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막고 유지하기 위한 부속물로 과열로 인한 차량의 손상을 막아주기 때문에 꼭 필요한 소모품입니다.
자동차는 내부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폭발을 통해 뜨거운 에너지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에너지가 차 내부에 많은 열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 열을 식혀주는 하나의 해결 방 안으로 만들어진 게 부동액입니다.
차량을 설계할 때 열을 시켜주는 과정으로 두 가지 방법이 적용됐는데 하나는 부동액 냉각수를 이용한 방법이고 다른 방법으로는 차량의 공기 순환을 통하여 열을 내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차량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이라면 자동차 열을 식혀주기 위해 물을 사용할 수 도 있는데 왜 부동액을 사용해야 하는지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차량 내부의 열을 시켜주기 위해 부동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부동액의 끓는점과 어는점이 물과 다르기 때문입니다. 상대적으로 부동액은 불에 비해 잘 얼지 않고 또한 잘 끓지 않기 때문에 열을 감소하는데 효율적인 액체입니다.
부동액을 열을 식혀주는 용도로도 사용하지만 사실 어는점의 온도가 더 낮은 게 중요합니다. 부동액의 어는점은 보통 영하 30~40도 사이로 우리나라에서는 걱정 없는 온도입니다.
그러나 매서운 영하의 칼바람으로 드물지만 부동액이 어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추운 날씨에는 조금 더 신경 써주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부동액이 얼게 된다면 엔진 주변의 부동액 관이 얼게 되면서 동파되어 주동액 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은 보통 금이 가거나 터지게 되므로 부동액이 샐 수 있습니다.
부동액이 새게 된다면 부동액이 부족하여 엔진 열을 낮춰 줄 수가 없기 때문에 엔진에 큰 손상을 줍니다. 그래서 겨울철에는 특히 부동액이 얼었는지 주기적으로 점검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부동액 교환주기
자동차를 관리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동액의 교환 주기는 어떻게 될까요? 자동차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부동액 교환주기는 약 2년 정도로 권장하고 주행거리로는 약 35,000~65,000Km로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차량의 종류와 운전자만의 운전 주행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대략적인 부동액 교환 주기일 뿐 부동액의 오염 정도에 따라 교환 주기나 시기는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교환주기가 어느 정도 정해지지만 위처럼 부동액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깨끗한 부동액은 맑은 초록색을 띄고 부동액의 오염이 진행될수록 어두운 초록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오염 정도에 따라 부동액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잘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 어둡게 변할수록 부동액의 어는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부동액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부동액 교환비용
부동액의 교환 주기만큼 교환 비용도 자동차 유지비용 중 하나로 포함 되기 때문에 알아 두시면 좋습니다. 차량의 모델과 브랜드별 부동액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부동액의 가격은 3L 기준 1~4만 원 사이이고 공임비용은 1~2만 원 사이로 보시면 됩니다. 다만 부동액은 일반인도 쉽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교체만 아니면 크게 공임 비용은 생각 안 하셔도 됩니다.
그러나 오래된 차량 같은 경우는 전체적으로 부동액을 교환해주셔야 합니다. 전체 부동액 교환 하는 방법은 순환식 장비를 이용하여 배관을 청소해 줄 수 있습니다. 전체 교환 비용은 9~14만 원 사이입니다.
차량을 운행은 쉽게 하지만 차량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하여 자동차 점검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눈으로 확인 가능한 문제가 아닌 이상 잘 확인 안 하게 되는데
이런 게 지속되면 자동차의 수명을 깎아 먹는 이유가 됩니다. 여러분은 들정기적인 차량 점검을 통해 차량 수명을 늘려 오래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자동차 > 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워셔액 교체방법 (0) | 2023.11.14 |
---|---|
엔진오일 교환주기 및 교환가격 (0) | 2023.02.23 |
미션오일 교환주기 및 교환가격 (0) | 2023.02.22 |
댓글